히트짐

MAGAZINE

히트에서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라!

건강정보

  1. HOME
  2. 매거진
  3. 건강정보

공복유산소운동의 위험성-01.jpg

다이어트 할 때 주의하세요!

다이어트 시 공복 유산소 운동의 위험성

 

 

 

 

안녕하세요! 히트짐입니다! 


다이어트를 하시는 많은 분들이 빠른 시간에 살을 빼기를 원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게 됩니다.

밥 안먹기, 적게 먹기, 원푸드 다이어트 등….

 

 

04.jpg

 

운동을 함에 있어서도 빠르게 살 빼는 방법을 찾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실행하는 것이 ’아침공복 유산소 운동’입니다.


공복, 소위 빈 속. 즉 몸에 에너지가 없는 상태에서 유산소 운동을 하니, 지방 연소 속도는 월등합니다.
하지만 건강에는 무척 해로운 결과를 낳게 됩니다. 오늘 히트짐이 알려주는 건강 꿑팁, 공복 유산소 운동이 왜 몸에 안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 

 

 


공복인 우리의 몸은 잠을 자는 동안 혈액과 세포 내에 녹아있던 탄수화물 에너지를 대부분 소모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유산소 운동을 시작하면

바로 지방을 분해해서 에너지로 쓰게 됩니다. 살 빼는 효과가 탁월한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01.jpg

 

하지만 문제는 이렇게 지방을 분해하기 시작하면서 근육도 분해하기 시작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아침 6시~10시 사이에는 우리 몸에서 코타졸이라는 물질이 분비가 많이 되는 시간대입니다.

이 코타졸이라는 물질은 근육의 분해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이 근육분해에 가속도를 붙여주게됩니다.

 

이렇게 근육이 손실되면, 기초 대사량이 떨어져 이후 지방의 축적을 더욱 촉진하는 원인이 됩니다.


지방 제거에 성공한다해도 근육이 없어져, 몸은 탄력을 잃고 그저 마르기만 한 몸이 됩니다. 근육 운동을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1kg의 근육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02.jpg

 

두번째 문제는 케톤체(ketone body)라는 물질의 생성입니다.


지방을 태우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탄수화물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아침공복에는 체내의 탄수화물이 거의 고갈된 상태입니다.

운동을 하면 에너지가 필요한데, 탄수화물이 없으니 지방은 불완전 연소를 하게됩니다.

지방이 불완전 연소를 하게되면서 나오는 부산물이 바로 케톤체입니다.


케톤체는 혈중에 다량이 존재하게 되면 피가 산성으로 변하며 몸 구석구석을 상하게 만듭니다.

또한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나오는 암모니아도 케톤체와 함께 체외로 배출하기 위해 신장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 때 신장은 엄청난 부담을 겪게 됩니다.

 

 

03.jpg  

 

세번째 문제는 일시적으로 뺸 살은 다시 차오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공복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그 순간 지방은 잘 빠지지만, 아침을 먹게 되면,

운동 시 잃어버린 지방과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지방을 다시 생성하게 됩니다.


지방과 단백질을 태우고, 다시 지방이 붙고... 결국은 몸에 근육은 없고 지방만 남는 상태가 되고 마는 것입니다.

 

그러니 아침 식사 후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이 공복에 하는 유산소 운동보다 더 좋겠죠?

 

 

05.jpg

※운동에 가장 좋은 시간※


식사(특히 저녁)후 1시간에서 1시간 반 사이에 먹은 음식물이 다 소화되어 혈중 포도당 농도가 가장 높을 때 입니다.

이 때 운동을 하시면 혈액 내 에너지가 많아 가장 활발히 운동을 하실 수 있으며,

그 혈중 포도당을 운동으로 다 태워버리기 때문에 지방으로 변화할 잉여 에너지가 남지 않게 됩니다.

 

덤으로 약간의 체지방을 더 태울 수 있다면 다이어트 성공의 밑거름!

 

 

06.jpg


빠른 체중 감량이라는 목적으로 신체 대사적으로 역행이 되는 방법을 사용하시면 그 효과는 미미한데 반해 건강은 엄청난 손실을 얻게 됩니다.

너무 급한 마음을 가지지 마시고,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꾸준히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을 실행하시면, 원하는 체중과 탄력있는 몸매를 건강하게 유지하실 수 있을겁니다.

 

 

 

Top

주요컨텐츠 바로가기

사이트맵

사이트맵 닫기